:::: MENU ::::
Browsing posts in: Service

Yaler.net relay service

네트워크 기능이 내장된 임베디드 디바이스의 경우 내부 네트워크에서 외부로 접속은 쉽지만, 반대로 외부에서 이 디바이스로의 접근은 방화벽등이 있으면 쉽지않고, 공유기에서 NAT, 포트포워딩 등의 기능을 사용해야 해서 일반사용자들은 이용이 어렵다.

Yaler.net relay service
Yaler.net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서비스인데 아래 그림을 보면 동작이 쉽게 이해가 되며, 튜토리얼 문서를 보면 Arduino, Beaglebone, Raspberry Pi… 등의 유명한 보드들의 셋업가이드도 자세하게 나와있다.

Yaler_net_-_access_devices_from_the_Web

비용
비용은 회원가입을 하면 30일 무료이고, 최저 10CHF (스위스 프랑)이니 약 10불정도이니 비싸지 않다.

테스트
회원가입을 하면 자신의 계정에 다음과 같이 Relay Host, Relay Domain, Secret Key가 생성이 된다.

Yaler_net_-_Account

동작이 되는지 확인을 위해 curl을 이용해 테스트를 하면…

$ curl -vX POST gsiot-sqqm-gym8.try.yaler.net/

다음과 같이 HTTP/1.1 504가 뜨는데 이것은 보드가 온라인이 아니거나 또는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 이렇게 응답을 하는 것이고, 만약 제대로 되면 HTTP/1.1 200 OK로 응답을 한다.

yaler_cmdline

응용
Instructables에  Arduino와 Yaler, IFTTT를 사용한 IoT Gauge with Arduino, Yaler & IFTTT 프로젝트가 있는데, 여기서는 IFTTT의 Maker 채널 을 사용하고 “Make a web request”에  Yaler 서비스 정보를 기입해서 폰의 위치정보에따라서 디바이스(Arduino Uno, Arduino Yun) 가 반응하는 꽤 흥미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었으니 참고해 보면 Yaler, IFTTT, Maker Channel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IoT Gauge with Arduino, Yaler & IFTTT

괜찮은 서비스
Pushover: 안드로이드, 아이폰에 알림을 띄워주는 서비스이며 IFTTT에도 채널로 등록이 되어 있다.


온라인 공동 번역툴

온라인 공동 번역툴인 Crowdin

모든 것이 인터넷상에서 가능한 시대다. 번역도 마찬가지…

다국어 버젼의 소프트웨어나 문서를 다른 언어로 번역할때 유용할 것 같다.

화면 왼쪽에는 각 스트링의 기본언어의 표현이 나타나며, 빨강, 초록, 체크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 각각은 미완료, 번역완료,확인완료 를 의미한다. 왼쪽에서 스트링하나를 선택하면 그 오른쪽 화면에 번역 작업을 할 수 있는 내용이 나오며, 매 문장마다 기계가 번역한 단어도 보여준다. 

오른쪽에 다른 사용자가 코멘트를 남길 수도 있다. 즉 온라인에서 관리 및 협업이 가능하다는 뜻…

마치 지난번에 Fritzing을 한국어 번역할 때 사용한 Qt Linguist 와 인터페이스가 거의 비슷하다.



클라우드 펀딩

Kickstarter는 Crowdfunding 서비스이다.
Kickstarter.com 의 홈페이지에 정의되어 있는 내용은…

Kickstarter is a new way to fund creative projects.

We believe that:

• A good idea, communicated well, can spread fast and wide.

• A large group of people can be a tremendous source of money and encouragement.

Kickstarter is powered by a unique all-or-nothing funding method where projects must be fully-funded or no money changes hands.

Kickstarter가 어떻게 working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1. 아이디어를 가지고 Kickstart에 등록한다. 물론 Kickstart team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어떤 카데고리에 해당하는지, 목표 금액, dead line, 투자자들의 금액에 따른 reward를 정하고 비디오 쇼케이스를 한다.

  3. 커뮤니티에 등록된 내용을 보고 사람들이 투자를 하는데, 만약 기간내 투자 금액이 모이면 진행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꽝이다. 즉 all or nothing fund. threshold pledge system이라고 부른다.

  4. 프로젝트를 만든 사람은 펀딩이 성공을 하면 커뮤니티에서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계속 업데이트해야 한다.

    여기서 Kicksater가 가져가는 돈은 펀딩된 금액의 5%, 결재시스템을 제공한 아마존은 3-5%의 돈을 가져간다.
    매달 백만명가량 Kickstarter를 방문하며, 프로젝트 참여자의 분포는 25~44살이 전체의 약 60%를 넘는군요.

    국내의 비슷한 서비스를 클라우드 펀딩 또는 소셜 펀딩이라고도 부르는데..
    텀블벅 : https://tumblbug.com/
    펀듀 : http://www.fundu.co.kr/
    소셜펀딩 개미스폰서:  http://www.socialants.org/
    등이 있다.
    아직 기술분야는 활발하지 않은 듯….

    참고로 kickstarter에서 가장 많은 펀딩을 받은 것은 TikTok+LunaTik Multi-Touch Watch Kits

$15,000을 목표했는데, 무려 $942,578을 투자를 받았다.
현재 비즈니스도 잘하고 있는 듯..  http://lunatik.com/

이런 투자생태계가 부러울따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