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NU ::::
Browsing posts in: Development

Eagle CAD에서 DXF 파일 불러오기

DXF파일 불러오기

Eagle CAD에서 보드의 외곽을 그릴 때 20 Dimension 레이어에서 Width 0으로 외곽선을 그린다. 일반적으로 보드가 사각형이면 그리는데 어려움은 없는데, 보드에 곡선이 있으면 쉽지 않다. 기구 설계하는 쪽에서 보드 외곽을 만들어 논 것이 있으면 이것을  DXF 파일로 변환하고, 이것을 Eagle CAD에서 불러와서 그대로 사용이 가능한다. Eagle CAD에서 바로 이 기능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고 import-dxf 라는 ulp를 받아서 사용하면 된다.  이 파일은 http://www.cadsoftusa.com/downloads/ulps 에서 import-dxf를 검색하면 import-dxf-1_6.ulp를 받을 수 있다.

ulp를 실행한 후 dxf파일을 선택하고 Metric, Scale을 설정하면 된다. 단 DXF파일은 도면 형태가 아니고, 보드의 외곽만 있어야 제대로 import가 된다.

보드의 원점 바꾸기

Import한 보드의 외곽이 원점(origin)에 위치하게 하는 방법은 보드의 외곽을 전체 선택하고 마우스로 옮길 수도 있지만 이 방법 보다는 다음의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한번에 정확하게 된다. 여기서 dX dY는 옮길 위치의 좌표

move (>0 0) (dX dY)


열전도율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열은 항상 더 낮은 온도 방향으로 흐른다. 즉 뜨거운 부분의 열이 차가운 부위로 전달되는데, 이 정도의 차이는 열전도율에 따라 달라진다.

열전도율 기본 공식
Q=k*A(ΔT/L)
Q=열류량(W)

여기서
A=시료의 면적(㎡)
L=시료두께(m)
ΔT=온도차(K,°C와 동일)

즉 면적이 넓고 두께가 얇을 수록 열이 더 빨리 전달이 됨

 

다이아몬드의 열전도율이 가장 높은 것이 인상적이다. 순동도 괜찮지만 가공성 및 비용을 따지면 알루미늄일듯.

참고: http://ko.wikipedia.org/wiki/%EC%97%B4%EC%A0%84%EB%8F%84%EC%9C%A8


OS X 10.10 요세미티에서 Homebrew 문제

요세미티로 업데이트가 되면서 brew가 이상해졌다.  대략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나온다.

/usr/local/bin/brew: /usr/local/Library/brew.rb: /System/Library/Frameworks/Ruby.framework/Versions/1.8/usr/bin/ruby: 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usr/local/bin/brew: line 26: /usr/local/Library/brew.rb: Undefined error: 0

일단 Xocde를 업데이트하고 Xcode command line tool도 업데이트 했는데 해결책은 그게 아니고… brew.rb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usr/local/Library/brew.rb 파일을 열어서 첫째줄의

#!/System/Library/Frameworks/Ruby.framework/Versions/1.8/usr/bin/ruby -W0

를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System/Library/Frameworks/Ruby.framework/Versions/Current/usr/bin/ruby -W0

그 다음에

brew update


아두이노 & 이클립스 (Arduino & Eclipse)

지난번 포스팅 ‘이클립스(Eclipse)에서 아두이노(Arduino)사용하기’ 은 이클립스에서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아두이노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아두이노는 command line에서 컴파일을 지원하므로 이런 플러그인 없이도 make 파일의 위치, 컴파일러 정보등만 이클립스에 설정하면 사용이 가능하다.

1. 프로젝트 만들기

File > New > Makefile Project with Existing Code를 선택후 Project Name을 설정하고 Existing Code Location을 설정한다.

2. Project Properties

C/C++ Build항목에서 Build location의 Build directoty 설정은 makefile이 있는 위치를 지정한다.

C/C++ General 항목의 Path and Symbols에서 Include할 폴더들을 입력하고  Symbol에도 미리 정의돼야 할 심볼을 입력한다.

3. MakeFile

정작중요한 것은 MakeFile이다. 여기에 제대로된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함.


큐라 한글화 14.09 버전

지난번에 큐라 한글화 작업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는데, 몇가지 추가할 사항이 있어서 다시 정리를 한다.

일단 당시 한글화 한 버젼은 14.08 RC버젼인데, 이 버젼은 공식 릴리즈가 되지 않았고, 14.07 다음에 바로 14.09버젼이 릴리즈 됐다. 그리고 14.08 한글 번역 버젼이 서포트 설정이 동작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문제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큐라의 모든 설정 부분은 current_profile.ini 파일에 저장이 되며, 큐라가 시작할때 이 파일을 로드해서 설정이 되고 종료할때 마지막 값이 저장되는데 한글로 설정된 값이 current_profile.ini에 저장이 안된다. 따라서 이부분은 그냥 영문을 그대로 사용을 하도록 po 파일을 수정해서 다시 빌드를 했다. 14.09버젼에는 프랑스어, 독일어가 추가가 되어 있고 설정이 가능해져서 이 부분도 수정을 해서 한국어 설정도 가능하도록 했다.

Cura 14.09  한글버젼의 다운로드


Github – Fork한 저장소 업데이트하기

Github에서 fork한 저장소를 원본 저장소와 연결해서 업데이트하려면, github에서 제공하는 툴에는 메뉴가 없으므로 터미널에서 작업을 해야한다.

Remote 설정

현재 설정된 리모트 저장소를 확인

$ git remote -v

새로운 리모트 업스트림을 추가

$ git remote add upstream https://github.com/ORIGINAL_OWNER/ORIGINAL_REPOSITORY.git

추가된 리모트 저장소 확인

$ git remote -v

다음과 같은 형태로 업스트림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Fork한 것을 업데이트

패치를 한다.

$ git fetch upstream

그다음에 checkout… 일반적으로 master이고 내가 fork한 브랜치의 이름을 적어야 한다.

$ git checkout master

merge를 한다. 이때도 일반적으로 master이고 내가 fork한 브랜치의 이름을 적어야 한다.

$ git merge upstream/master

Conflict 해결하기

충돌 상황을 확인

$ git status

충돌이 생긴 파일의 시작 부분에 <<<<<<< HEAD, 끝 부분에 >>>>>>> 표시가 되어 있다. 이것을 해결한 후에 git add 명령으로 변경된 파일을 추가하고 commit를 하면 된다.


이글 캐드 팁 – Trace의 길이 정보 확인하는 법

고속의 메모리 신호들은 trace의 길이를 맞춰주는데 이때 trace의 길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Trace만으로 저항 성분을 만들때도 Trace의 길이 정보가 필요하다. Trace길이에 따른 저항값은 이전 포스팅[PCB Trace 저항값 계산기] 참고

이글 캐드에서 trace의 길이를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ulp를 사용하면 된다.

“run length-freq-ri”


윈도우 환경에서의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툴 설치

원래 맥(Mac)을 사용하기 때문에 윈도우즈는 은행업무를 할때나 HWP 파일을 작성할때 빼고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런데 배포할 프로그램이 3가지 OS (Mac, Linux, Win)인지라 윈도우 환경에서도 개발툴의 설치가 필요하다. 사실 코드의 수정 보다도 이런 작업이 더 어려울 수 있는데, software deployment(한글로는 뭔지 잘….)를 위해서는 필요한 작업이고……..

내용은 윈도우환경에서 리눅스 개발환경 설치하기 정도가 될 것 같다. 리눅스 버젼의 배포판을 위해 가상머신에 우분투도 설치해서 설치패키지를 만들어 봤는데, 생각보다 깔끔하고 문제 없이 동작한다. 개발용이 아닌 한글을 사용한 워드, PPT작업등의 일반 업무 사용을 위해서는 어떨지 살짝 궁금하기도 했다는…

일단 필요한 프로그램은 컴파일을 위한 MinGW, 코드를 github에서 받고 bash 환경을 위한 프로그램, 마지막으로 윈도우즈 설치프로그램을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MinGW

  • Minimalist GNU for Windows이라 불리우는 s/w 패키지이다. http://www.mingw.org/ 에서 Downloads 항목의 Installer에 있는 mingw-get-setup.exe 파일을 받아서 설치를 한다. 구글링을 해보니 mingw 5.1.4나 mingw5.16에 대한 소개가 있는데 g++버젼이 오래되어서 컴파일이 안될 수 있다.
  • 프로그램을 설치 한 후 필요한 컴파일러를 선택을 하면 다운로드 및 설치가 자동으로 된다.

Git-bash

  • http://git-scm.com/downloads 윈도우 버젼을 받아서 설치한다. 설치후 git-bash 를 사용하여 코드를 받고 패키지 컴파일을 위한 스크립트를 실행할 것이다.

NSIS

  • nullsoft scriptable install system
  • 상용프로그램으로 인스톨쉴드같은 것을 썼는데, 오픈소스인 NSIS도 같은 기능을 한다.
  • 오래된 프로그램이라 구글링하면 한글로 정리된 구체적인 사용법들이 많다.


Xcode, Pip, Virtualenv, VirtualenvWrapper 설치하기

Xcode

Xcode와 Xcode command line tool은 Mac에서 개발을 하려면 필요한 툴.  App Store에서 다운로드해서 설치한다. Xcode의 설치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 xcode-select -p

설치가 되어있으면  다음과 같이 표시가 된다.

/Applications/Xcode.app/Contents/Developer

Command line tool은 다음과 같이 해서 설치를 하는데,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 위치에 설치가 된다.

xcode-select —install

gcc의 버젼 확인

$ gcc --version
Python deployment를 위한 툴인 pip, virtualenv, virtualwrapper의 설치

Pip

sudo easy_install pip

Vitualenv

sudo pip install virtualenv

VitualenvWrapper

sudo pip install virtualenvwrapper

.virtualenvs 폴더를 만든다.

cd $HOME
mkdir .virtualenvs

Shell이 virtualenvwrapper.sh를 로드하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작업

vi .bash_login

다음 내용을 적고 저장.

source /usr/local/bin/virtualenvwrapper.sh

Pages:1...8910111213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