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NU ::::
Posts tagged with: 아두이노

아두이노 적외선 통신

IR (Infrared) 통신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인데, 적외선은 빛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을 통신에 이용하기위해 38Khz modulation을 한다. IR 수신할때 문제는 리모콘에만 반응하지 않고, 형광등이나 빛에 오동작 할 수 도 있다는 것.

Modulation

Demodulation

IR Receiver Pinout

TSOP382 datasheet

IR Protocol

(IR) ProtocolAn algorithm for turning a number of parameters into an IR signal. It defines the necessary parameters and their allowed values. In almost all protocols, the most frequently changing parameter is called “F” (function number). Almost all protocols have a “device number” called “D”. Many protocols have a “sub-device” number, called “S”. A few protocols have a toggle parameter, in general called “T”, and being persistent. A protocol may also have other parameters, with “arbitrary” names.

참고


아두이노에서 ESP8266 사용하기

아두이노에서 ESP8266 사용하기

  • 아두이노 IDE는 1.6.4 이상의 버전을 설치
  • 아두이노의 환경설정에서 추가적인 보드매니저 URLs에 다음과 같이 입력

http://arduino.esp8266.com/stable/package_esp8266com_index.json

  • 툴 > 보드매니저에서 ESP8266을 검색후 ESP8266 보드를 설치한다.

arduino_board_maneger

  • 설치후 툴 > 보드 메뉴에서 가지고 있는 ESP8266보드를 선택한다.

핀레이아웃

간단한 Blink Test


아두이노의 숨겨진 히스토리

이제껏 몰랐던 아두이노의 숨겨진 이야기 http://arduinohistory.github.io/

이 글의 저자는 Hernando Barragán로 아두이노가 차용한 Wiring을 개발한 사람이다. 이 이야기의 핵심은 자신이 학생으로 있을 때 개발한 wiring을 당시 교수로 있었던 Massimo Banzi가 fork해서 아두이노를 만들었다는 것. 잘못된 정보는 무책임한 미디어에 의해 더 확산이 되고… 암튼 당사자가 주장하는 얘기의 핵심은

It is unethical and a bad example for academics to do something like this with the work of a student. Educators, more than anybody else, should avoid taking advantage of their student’s work.


Make파일을 사용해서 아두이노 스케치 다운로드

아두이노 IDE를 사용하여 스케치를 다운로드를 하면 매번 컴파일을 해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Make파일을 써서 스케치를 다운로드하고 있었는데, UART to USB칩이 Atmega16U2, FTDI에서는 이상이 없었는데, Silab CP2102를 사용하면 다운로드가 안된다. 원인을 찾아보니 Make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AVRDUDE_PROGRAMMER를 stk500대신 wiring으로 하니 다운로드가 잘된다.

#AVRDUDE_PROGRAMMER ?= stk500
AVRDUDE_PROGRAMMER ?= wiring

CP2102 드라이버CP2102데이터시트


Teensy 사용하기

Teensy는 아두이노 호환 보드로 Cortex M0, M4기반의 보드가 있어서 보다 높은 프로세싱이 필요한 응용에 적합하다. 이 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Teensyduino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것은 기존 아두이노 IDE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코드들과 다운로드를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Teensy_USB_Development_Board_1

Teensy_USB_Development_Board

먼저 아두이노를 설치하고 https://www.pjrc.com/teensy/td_download.html 이 사이트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하는데 문제는 아두이노 1.0과 아두이노 1.6.x 이 동시에 설치가 되어 있으면 아두이노 1.0쪽에만 설치가 된다.(아두이노 1.6.x쪽을 지정이 안됨) 따라서 일단 아두이노 1.0을 언인스톨하고 1.6.x에 설치를 한 후 다시 아두이노 1.0을 설치를 해야 한다. Teensy 3.2의 경우 Cortex M4이기 때문에 SPI를 사용하는 응용은 Teensy 라이브러리에서 SPI 드라이버(faster SPI library for Teensy 3.0)도 같이 설치를 해야한다. 그리고 나머지 필요한 라이브러리는 아두이노 1.6.x의 라이브러리 매니저에서 추가한다.

*코드중에 호환이 안되는 것중 하나 – isDigit ==> isdigit 으로 바뀌어야 함.


아두이노 스케치를 네트워크로 업로드하기 – Arduino update remotely

아두이노 보드의 펌웨어는 USB 케이블을 PC와 연결후 PC상에서 잡히는 것은 COM 포트를 통해 아두이노 IDE를 통해 업데이트가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avrdude라는 프로그램을 써서 stk500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프로그램이 된다.

아두이노 스케치를 네트워크로 업로드하기

필요한 것들

  • Wiznet의 WIZ550S2E –  1개
  • Arduino pro mini – 테스트에 사용한 아두이노 보드
  • 와이어링 케이블 – WIZ550S2E와 Arduino pro mini를 연결
  • TFTP server program – Windows의 경우 tftpd, 맥의 경우 Tftp Server
  • 아두이노 IDE 프로그램

케이블 연결 및 설정

WIZ550S2E는 Serial to Ethernet 게이트웨이 모듈로 시리얼로 들어온 데이터는 네트워크로 보내고, 네트워크에서 들어온 데이터는 시리얼로 보낸다. WIZ550S2E의 회로도를 보면 J1에 있는 입력핀들은 풀업이 되어 있어서, 아두이노와 연결에 필요한 핀은  3V3D, GND, TXD, RXD, STATUS2 핀이다.

wiz550s2e_pin

TXD, RXD는 아두이노의 RXD, TXD에 연결을 하고 STATUS2를 아두이노의 DTR에 연결을 한다. 이 DTR 신호는 아두이노 보드의 리셋에 연결이 되어 있다.  따라서 아두이노 IDE에서 스케치 업로드를 하면 연결된 보드의 DTR을 트리거링해서 아두이노 보드를 리셋시키고, 아두이노는 bootloader로 진입한다. 그리고 이 bootloader에서는 일정 시간안에 stk500 프로토콜에 해당되는 메시지가 들어오면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 그렇지 않으면 0번지에 위치한 프로그램으로 jump한다. 이 DTR을 트리거링 하는 것은 WIZ550S2E 펌웨어를 수정해서 적용을 할 것이다.

모듈의 설정

모듈의 설정은 Configtool을 사용해서 설정을 하며, 아래 그림을 참고한다. 특별한 것은 없고 IP, Port, Working mode 정도만 설정하면 되고, 주의 할 것은 baud rate인데 Arduino pro mini의 경우는 57600이다. 각 보드를 프로그래밍하는 baudrate는 맥의 경우 Arduino.app/Contents/Java/hardware/arduino/avr/boards.txt파일에 정의가 되어 있다.

configtool

WIZ550S2E 펌웨어 수정하기

WIZ550S2E 모듈의 하드웨어 자료와 펌웨어 소스, Configtool의 코드까지 모든 소스는 위키에 있다. Configtool은 모듈설정에 필요하니 다운로드를 해서 설치를 하고, 수정할 펌웨어는 github에서 다운로드를 한다. 그리고 소스를 컴파일할 컴파일러는 NXP의 LPCXPresso는 회원가입 후 다운로드해서 설치를 한다. 참고로 위키에는 LPCXpresso v7.5.0_254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하는데 최근 버전인 8.0도 전혀 문제가 없다. github에서 다운로드한 zip파일을 LPCXpresso에서 import해서 WIZ550S2E_APP의 S2E.c를 수정하는데, 수정한 코드는 단 한줄로 TCP 연결이 이루어졌을때 LED를 켜는 부분을 켰다가 끄는 형태로 수정을 한다. 그럼 STATUS2의 핀이 Low에서 High로 되어 DTR를 토글시켜 아두이노가 리셋이 된다.

lpcecpress

수정된 펌웨어 업로드하기

펌웨어 업데이트는 TFTP를 사용하므로 설치한 TFTP 서버에서 bin파일을 모듈이 수신 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한다. Confitool로 search를 해서 업에디트 할 모듈을 찾은 후 F/W Uploading 버튼을 누르고, 서버 IP를 PC의 IP주소, Port를 69, File Name을 WIZ550S2E_App.bin로 하고 OK 버튼을 누르면 모듈은 재부팅 후 TFTP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한다. 참고로 펌웨어를 수정하면서 기존 펌웨어와 구별을 하기 위해 common.h에서 모듈의 펌웨어를 9.0.0으로 바꾸었다.  한줄 수정된 펌웨어의 코드는 github에서… 바이너리는 dropbox에서 다운로드.

Avrdude 설정 변경
스케치를 업로드 할때는 연결된 시리얼로 데이터는 전송하는데, avrdude의 설정을 강제로 변경을 해서 아두이노 IDE가 서버의 IP:Port로 접속을 하게한다.

맥의 경우 아두이노가 설치된 폴더/Contents/Java/hardware/arduino/avr/platform.txt에 있는 내용중

tools.avrdude.upload.pattern=”{cmd.path}” “-C{config.path}” {upload.verbose} -p{build.mcu} -c{upload.protocol} -P{serial.port} -b{upload.speed} -D “-Uflash:w:{build.path}/{build.project_name}.hex:i”

-P{serial.port}를 -P net:host:port로 변경한다. 즉 host:port를 모듈의 IP와 port로 수정한다.

동작테스트

아래그림과 같이 연결을 하고 전원을 연결한다. 그리고 아두이노 IDE에서 스케치를 업로드를 하면 컴파일이 되고 avrdude는 모듈의 IP로 접속을 해서 아두이노를 프로그래밍한다. 간단하게 blink예제를 타이밍을 바꿔서 테스트를 해봤는데 잘된다. 나중에 시간이 되면 Avrdude 설정을 바꾸지 않고, Arduino IDE에서 IP:Port를 입력할 수 있게 코드를 수정해서 빌드하면 좋을 듯~~

wiz550s2e_arduino

 

업데이트 – Mac에서 작업을 해서 Windows에서도 될 줄 알았는데, avrdude 코드를 보니 다음과 같이 win32에서는 network을 지원을 하지 않는다. 즉 net:<host>:<port> 형태는 바로 “ser_open(): network connects are currently not implemented for Win32 environments” 라는 메시지를 뿌리고 리턴한다.

/*
* If the port is of the form “net:<host>:<port>”, then
* handle it as a TCP connection to a terminal server.
*
* This is curently not implemented for Win32.
*/
if (strncmp(port, “net:”, strlen(“net:”)) == 0) {
fprintf(stderr,
“%s: ser_open(): network connects are currently not”
“implemented for Win32 environments\n”,
progname);
return -1;
}


아두이노는 hex파일을 어디에 저장하는가?

아두이노는 스케치를 avr-gcc 또는 arm-gcc를 사용해서 컴파일을 한다. 이 컴파일러의 위치는 맥의 경우 Arduino.app/Contents/Java/hardware/arduino/avr/platform.txt에 정의가 되어 있다. 즉 /Arduino.app/Contents/Java/hardware/tools/ 아래에 avr, arm 컴파일러가 컴파일을 한다.

그럼 아두이노는 hex 파일을 어디에 저장을 하는가?

Arduino_Prefernece

이것을 알아보기위해서는 Arduino > Preference의 설정에서 “다음 동작중 자세한 출력보기”의 컴파일 부분을 체크하면 hex파일이 생성되는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런데 저장되는 폴더의 위치가…

“/var/folders/4v/frv3pzr55x77gnv6_342m3wm0000gn/T/buildd18630de25a90c7712fff203789659dd.tmp/WebServer.ino.hex”

이 폴더의 위치를 바꾸기 위해서는 아두이노를 종료하고 Preference.txt 파일에 다음과 같이 “build.path=” 항목을 추가하고 폴더의 위치를 기입후 다시 아두이노를 실행한다.

build.path=/Users/AteamRnd/Work/Arduino_Compile

아래 그림과 같이 eep, elf, hex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ketch

 


아두이노 Serial to USB 사용하기

원본소스는 Mac에서 \Resource\Java\hardware\arduino\firmware\atmegaxxu2 아래에 있다. arduino-usbdfu 또는 arduino-usbserial 를 사용한다. 이 소스에는 USB 프레임워크인 LUFA(Lightweight USB Framework for AVRs)가 빠져있으므로 http://www.fourwalledcubicle.com/LUFA.php 에서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한 LUFA 폴더를 arduino-usbserial 폴더와 같은 위치에 복사한다.

make 파일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수정한다.

LUFA_PATH

# Path to the LUFA library

LUFA_PATH = ../

MCU

MCU = at90usb162  #atmega16u2와 pin to pin 호환임

컴파일된 hex파일은 avr isp등으로 write하면 된다.

이렇게 작업한 내용은 https://github.com/jbkim/usbserial


아두이노 & 이클립스 (Arduino & Eclipse)

지난번 포스팅 ‘이클립스(Eclipse)에서 아두이노(Arduino)사용하기’ 은 이클립스에서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아두이노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아두이노는 command line에서 컴파일을 지원하므로 이런 플러그인 없이도 make 파일의 위치, 컴파일러 정보등만 이클립스에 설정하면 사용이 가능하다.

1. 프로젝트 만들기

File > New > Makefile Project with Existing Code를 선택후 Project Name을 설정하고 Existing Code Location을 설정한다.

2. Project Properties

C/C++ Build항목에서 Build location의 Build directoty 설정은 makefile이 있는 위치를 지정한다.

C/C++ General 항목의 Path and Symbols에서 Include할 폴더들을 입력하고  Symbol에도 미리 정의돼야 할 심볼을 입력한다.

3. MakeFile

정작중요한 것은 MakeFile이다. 여기에 제대로된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함.


아두이노에서 정의되지 않은 핀 사용하기

아두이노 보드는 각종 라이브러리들을 잘 만들어 놓아 쉽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일례로 가장 간단한 예제인 blink 예제를 보면 pinMode() 함수를 사용해서 온오프할 핀을 출력으로 정하고 digitalWrite()함수를 사용해서 LED를 온오프한다.

 * 참고로 pinMode() 함수를 사용할때 주의할 점은 인자로 받아들이는 pin의 숫자가 아두이노 보드에 명기된 숫자이지 AVR칩의 pin number가 아니라는 점이다.

Arduino Uno보드의 경우는 Atmega328칩의 모든  핀들이 보드에 나와있어서 문제가 없으나 위 그림과 같이 Arduino Mega보드의 경우 일부 핀들이 보드에 나와있지 않다. 보드에 핀이 나와있지 않으니 라이브러리에도 핀들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만약에 이 핀들을 사용을 하려려면 라이브러리를 수정을 해야 하며, pinMode() 라는 함수가 어떻게 동작하는 지 알아야 한다.

위 코드에서 보듯이 digitalPinToBitMask() 함수와 digitalPinToPort() 함수를 어떤 포트의 어떤 핀을 설정할 것인지를 알아낸다. 이 함수들을 따라가다 보면 pins_arduino.c pins_arduino.h에 각 핀들이 어떤 포트에 있는지 정해져 있는데, 이곳에서 추가를 해야 한다. ATmega 2560이 아두이노에서는 디지털 핀의 경우 53번까지 정의가 되어 있으므로(ATmega2560-Arduino Pin Mapping 참고) 정의 되어 있지 않은 핀은 이 번호뒤에 정의해서 사용하면 된다.

pins_arduino.h 파일은 아두이노 1.0.6의 경우 아래 경로에 있다. Arduino.app/Contents/Resources/Java/hardware/arduino/variants/mega/pins_arduino.h


Pages: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