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NU ::::
Posts tagged with: 오픈소스하드웨어 비즈니스

오픈소스하드웨어에 관하여

최근 국내에서도 오픈소스하드웨어가 점차 인기를 끌고 있다.

인기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오픈소스하드웨어중 하나인 아두이노 관련 책을 인터넷 서점에서 검색해보면 2010년도에 한 권이던 책이, 2012년도를 기점으로 2013년에는 15권이나 된다. 대학에서도 아두이노를 가르치고 심지어는 고등학교 동아리에서도 아두이노를 가지고 프로젝트를 하는 것을 보았다.

2013년도 서울디지털포럼의 주제가 초협력이었고, 여기서 마친 자쿠보우스키(오픈소스 에콜로지 창립자), 카타리나 모타(오픈 머티리얼 & 에브리웨어테크 공동 창립자), 강윤서(오픈테크포에버 창립자) 등 오픈소스 하드웨어 운동가들이 SDF에 참석해 오픈소스 정신의 중요성을 알렸다.  – 참고기사.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인 Kickstarter.com 에서 오픈소스하드웨어 플랫폼인 아두이노로 검색을 하면 122개의 프로젝트가 나온다. 우리나라는 몇 년 늦은 감이 있지만 이미 전세계적으로 오픈소스하드웨어의 열풍은 대단하다. 리눅스같은 오픈소스소프트웨어는 알겠는데, 그럼 오픈소스하드웨어란무엇인가?

오픈 소스하드웨어란?

오픈소스하드웨어도 오픈소스소프트웨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오픈소스소프트웨어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소스코드를 공개하듯, 오픈소스 하드웨어는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회로도, 파트리스트, 회로도 등을 대중에게 공개한 제품을 말한다. 그리고 오픈소스하드웨어협회(Open Source Hardware Association)에서는 오픈소스하드웨어에 대한 정의를 명문화 해서 공개하고 있으며 현재 1.0버젼이 공개되어 있고 위키페이지에 한글 번역본도 공개되어 있다.

여기에 나와 있는 원칙에 대해 살펴보면…

오픈 소스 하드웨어는 누구나 이 디자인이나 이 디자인에 근거한 하드웨어를 배우고, 수정하고, 배포하고, 제조하고 팔 수 있는 그 디자인이 공개된 하드웨어이다. 하드웨어를 만들기 위한 디자인 소스는 그것을 수정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구할 수 있어야 한다. 오픈 소스 하드웨어는 각 개인들이 하드웨어를 만들고 이 하드웨어의 사용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쉽게 구할 수 있는 부품과 재료, 표준 가공 방법, 개방된 시설, 제약이 없는 콘텐트 그리고 오픈 소스 디자인 툴을 사용는 것이 이상적이다. 오픈 소스 하드웨어는 디자인을 자유롭게 교환함으로써 지식을 공유하고 상용화를 장려하여 사람들이 자유롭게 기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핵심은 디자인이 공개되야 하며, 공개하는 것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가능하면 상용툴이 아닌 오픈툴을 사용하라는 것이다. 즉 예를 들면 회로도는 EagleCad, Kicad등으로 구성하여 회로도 및 아트워크 파일까지 오픈하고, 소스코드로 github이나 Google code 같은 소스 공유 플랫폼을 이용해서 공유하라는 것이다. 그리고 재미있는 것은 오픈소스하드웨어의 원칙은 이 자료를 이용해서 누구나 상용화를 장려한다는 것이다. 아래 동영상은 OSHWA에서 공개한 “What is Open Source Hardware?” 라는 동영상이다.

 

오픈소스하드웨어와 비즈니스

상용화를 장려한다고? 공개를 하지 않아도 중국에서는 몇 개월이면 똑같은 제품을 만들어 내는데….누구나 쓸 수 있게 자료를 다 오픈하면 이게 더 쉬워지는데… 그럼 원저작자는 어떻게 돈을 벌지? 사실 오픈소스하드웨어는 개발 모델이지 비즈니스 모델은 아니라고 생각이 되지만 이미 오픈소스하드웨어기반의 비즈니스로 성공한 크리스 앤더슨의 지난 2012년 서밋의 키노트(MICROECONOMICS FOR MAKERS)를 읽어보면 오픈소스하드웨어 비즈니스에 관해 이해 및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Open Hardware Business Model

• “Give away the bits, sell the atoms”
• Charge 2.6x BOM
• Keep ahead of cloners by innovating faster, supporting better
• “90-10” Rule: 90% the performance of commercial products at 10% the price
• Democratize the technology: low prices = high volume = high innovation.

상용제품보다 성능은 90%로 약간 떨어지지만 가격은 10% 밖에 안되는 제품을 많이 팔아라. 그리고 카피캣, 클론에 대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빨리 제품을 업그레이드 해라. 이와 비슷한 얘기를 오픈소스하드웨어 비즈니스에서 성공한 Sparkfun의 CEO인 Nathan Seidle이 TED강연에서도 했다. 아래 동영상 참고.

그는 특허가 혁신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하며, 자신의 오픈소스하드웨어 제품은 12주면 카피제품이 나오기 때문에 혁신이 필요하다고 얘기를 한다. 참고로 아래 비디오와 비슷한 내용의 글이 SparkFun 홈페이지에 있는데, 여기서 보면 2012년 당시 Sparkfun의 비즈니스 규모는 $75M이다. (35 co-workers, 75 million dollars of sales, 600,000 customers and our 431 unpatented products…)

그리고 2010년 자료이긴한데 오픈소스하드웨어 비즈니스에서 $1M이상의 규모가 되는 업체 13개를 정리한 블로그 기사와  Adafruit가 공개한 슬라이드를 보면 이쪽의 비즈니스의 규모를 아는데 도움이 될듯하다.


오픈소스하드웨어 비즈니스가 성공하려면

그럼 이런 오픈소스하드웨어 비즈니스가 성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검색도 하고 다시 한번 고민도 해봤는데, 재미있는 것은 2010년에 내가 관련된 글을 내 블로그에 쓴 게 있었다 !

기술적인 부분가능한 진입장벽을 낮추라

사용자층은 전문 개발자가 아니다Arduino만 하더라도 아티스트디자이너들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젝트이다따라서 누구나 쉽게 개발환경을 갖추고 쉽게 개발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사용된 하드웨어 부품은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해야 한다.
  • 개발 환경은 무료툴을 제공해야 한다예를 들면 컴파일러의 경우 GNU 계열의 무료 툴을 제공하거나회로도의 경우 무료 CAD 툴인 EAGLE 을 사용해야 한다.
  • 가능한 쉽게 개발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 툴을 제공해야 한다. GNU 계열의 툴이 무료이지만 사용이 쉽지 않다이것을 캡슐화하거나 배우기 쉬운 스크립트 언어를 제공해야 한다.
  • 개발 보드는 플랫폼 성격을 가지므로 확장성을 고려해 stackable, modular 타입으로 디자인 해야 한다. 예를 들면 Arduino Shield나 Bug labs의 modular 타입의 보드처럼.. 

문화적인 부분사용자들이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라.

관심이 있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서로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이 온라인 상에 있으므로 서로의 프로젝트를 공유하고서로 자랑하고의견을 나눌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즉 이 공간을 통해 서로가 자극이 되고 격려가 되어 자신의 프로젝트를 공개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이 필요하다한 사람한 회사에서 주도하는 게시판 성격의 틀이 아닌 누구나 질문을 올리고 서로 답변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되야 한다위의 두가지 조건이 최소의 조건이다.

지금 다시 읽어보니 예전의 생각이나 지금의 생각이나 크게 차이가 없다. 하지만 당시의 생각보다 지금 더 중요하게 생각되는 부분은 바로 두번째 부분인 온라인 플랫폼인 커뮤니티부분이다.  위 오픈소스하드웨어 비즈니스 부분에서 보았던 업체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그들은 단순히 하드웨어 제품만 파는 업체들이 아니다. 자신들의 커뮤니티를 통해서 유저들과 소통한다. 즉 홈페이지에 심하다 싶을 정도로 자세한 튜토리얼을 제공하고 유저와 소통하는 포럼을 운영하고 있다. 이중에 개인적으로 가장 잘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튜토리얼은 Adafruit의 Learning System이다.  세세한 설명, 고퀄의 사진들… 즉 이들의 비즈니스는 교육과도 무관하지 않다. 

오픈소스하드웨어 비즈니스에서 또 한가지 고민해야 할 부분은 어떻게 카피켓, 클론들 속에서 비즈니스를 지속하느냐 이다. 크리스 앤더슨이 발표한 자료의 마지막에  “7  OSH Limitations”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데, 대안은 하드웨어를 모두다 오픈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회로 자체는 오픈하되 디자인 파일들이나 패키지, 금형관련된 부분들은 오픈하지 않는 것이다. 실제로 아두이노노 회로및 아트웍 파일은 오픈하지만 아트웍 파일이 실제 판매되는 파일과 다르다. MakerBot도  비슷한 전략을 쓰고 있다.

관련 글을 쓰다보니 오래된 내 블로그의 글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되었는데, 지금도 흥미로운 글이 몇개 있다. ^^